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BIG

한자성어4

인내와 관련된 한자성어 15가지 극기복례(克己復禮)자신의 욕심이나 감정을 억제하고(극기), 예의범절에 맞는 행동을 한다(복례)는 뜻입니다. 이는 개인적인 욕망을 절제하고 사회적 규범을 따르는 인내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와신상담(臥薪嘗膽)섶에 누워 자고(와신) 쓸개를 맛본다(상담)는 뜻으로, 복수를 위해 고통을 감내하는 인내를 의미합니다. 이는 목표 달성을 위해 어떠한 어려움도 견뎌내는 강한 의지를 나타냅니다.우공이산(愚公移山)어리석은 노인(우공)이 산을 옮긴다(이산)는 뜻으로, 꾸준한 노력으로 불가능해 보이는 일도 이룰 수 있다는 인내를 강조합니다. 이는 끈기와 인내의 힘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예시입니다.권토중래(捲土重來)흙먼지를 일으키며(권토) 다시 온다(중래)는 뜻으로, 실패 후 다시 일어나는 인내를 의미합니다. 이는 좌절하지 않고 .. 2025. 3. 3.
일상생활에 힘이되는 한자성어 好學不倦 (호학불권) - 배움을 좋아하여 게으르지 않는다는 뜻으로, 즐겨 배우며 노력한다는 학문에 열중함을 이르는 말입니다. 灰頭土面 (회두토면) - 머리에 재를 뒤집어쓰고 얼굴에 흙을 칠한다는 뜻으로, 속인(俗人)과 같이 어울려 그 처지에서 말하며 같이 고뇌를 나누어야 한다는 중생 교화를 위한 거리낌 없는 노력의 의미입니다. 粉骨碎身 (분골쇄신) - 뼈를 가루로 만들고 몸을 부순다는 뜻으로, 정성으로 노력함을 이르는 말. 또는 그렇게 하여 뼈가 가루가 되고 몸이 부서지도록 노력한다는 의미입니다. 浚民膏澤 (준민고택) - 백성의 고혈을 뽑아낸다는 뜻으로, 재물을 마구 착취하여 백성을 괴롭힘을 이르는 말입니다. 行常帶經 (행상대경) - 나다닐 때 늘 경서를 가진다는 뜻으로, 학문에 열심히 노력함을 비유하여.. 2022. 9. 2.
노력이 필요할때 좋은 한자성어 犬馬之役 (견마지역) - 개나 말 정도의 하찮은 힘이라는 뜻으로, 윗사람에게 충성을 다하는 자신의 노력을 낮추어 이르는 말입니다. 刻鵠類鶩 (각곡유목) - 고니를 조각하다가 실패하더라도 집오리와 비슷하게는 된다는 뜻으로, 큰 뜻을 가지고 노력하다 보면 작은 성과라도 이루게 됨을 이르는 말입니다 篳路藍縷 (필로남루) - 거친 수레와 누더기 옷이라는 뜻으로, 섶나무로 거칠게 만든 허술한 수레를 타고 누더기 옷을 입는 것처럼 천신만고를 참으며 노력하는 일의 의미하거나, 일을 처음으로 창시(創始)하는 어려움을 이르는 말로 사용합니다 見賢思齊 (견현사제) - 어진 이를 보면 같아지기를 생각하라는 뜻으로, 자신을 항상 바르게 변화시키려는 노력의 의미입니다 ◈ 원문 - 子曰 見賢思齊焉, 見不賢而內自省也[어질지 못한 .. 2022. 9. 1.
노력에 관한 한자성어 13가지 犬馬之役 (견마지역) - 개나 말 정도의 하찮은 힘이라는 뜻으로, 윗사람에게 충성을 다하는 자신의 노력을 낮추어 이르는 말입니다 磨鐵杵 (마철저) - 쇠로 만든 다듬이 방망이를 갈아서 침을 만들려 한다는 뜻으로, 노력(努力)하면 아무리 힘든 목표(目標)라도 달성(達成)할 수 있음을 뜻합니다 精神一到何事不成 (정신일도하사불성) - 정신(精神)을 한 곳으로 하면 무슨 일인들 이루어지지 않으랴라는 뜻으로, 정신(精神)을 집중(集中)하여 노력(努力)하면 어떤 어려운 일이라도 성취(成就)할 수 있다는 말입니다 愚公移山 (우공이산) - 우공이 산을 옮긴다는 뜻으로, 어떤 일이든 끊임없이 노력하면 반드시 이루어짐을 이르는 말. 우공(愚公)이라는 노인이 집을 가로막은 산을 옮기려고 대대로 산의 흙을 파서 나르겠다고 하.. 2022. 8. 31.
반응형
BI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