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일반상식

인내와 관련된 한자성어 15가지

by 상식전문가 2025. 3. 3.
반응형

  • 극기복례(克己復禮)
    • 자신의 욕심이나 감정을 억제하고(극기), 예의범절에 맞는 행동을 한다(복례)는 뜻입니다. 이는 개인적인 욕망을 절제하고 사회적 규범을 따르는 인내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 와신상담(臥薪嘗膽)
    • 섶에 누워 자고(와신) 쓸개를 맛본다(상담)는 뜻으로, 복수를 위해 고통을 감내하는 인내를 의미합니다. 이는 목표 달성을 위해 어떠한 어려움도 견뎌내는 강한 의지를 나타냅니다.
  • 우공이산(愚公移山)
    • 어리석은 노인(우공)이 산을 옮긴다(이산)는 뜻으로, 꾸준한 노력으로 불가능해 보이는 일도 이룰 수 있다는 인내를 강조합니다. 이는 끈기와 인내의 힘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예시입니다.
  • 권토중래(捲土重來)
    • 흙먼지를 일으키며(권토) 다시 온다(중래)는 뜻으로, 실패 후 다시 일어나는 인내를 의미합니다. 이는 좌절하지 않고 재도전하는 용기와 끈기를 나타냅니다.
  • 마부작침(磨斧作針)
    • 도끼를 갈아(마부) 바늘을 만든다(작침)는 뜻으로, 끈기 있는 노력으로 목표를 달성하는 인내를 강조합니다. 이는 어려운 일도 포기하지 않고 꾸준히 노력하면 이룰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 고진감래(苦盡甘來)
    • 고생이 끝나면(고진) 즐거움이 온다(감래)는 뜻으로, 어려움을 견디면 좋은 결과가 있다는 인내를 의미합니다. 이는 현재의 고통을 참으면 미래에 행복이 찾아온다는 희망을 나타냅니다.
  • 견인불발(堅忍不拔)
    • 굳게 참고(견인) 흔들리지 않는다(불발)는 뜻으로, 어떠한 어려움에도 굴하지 않는 강한 인내를 의미합니다. 이는 목표를 향해 꾸준히 나아가는 불굴의 의지를 나타냅니다.
  • 인고탁마(忍苦琢磨)
    • 고통을 참고(인고) 옥돌을 갈고닦는다(탁마)는 뜻으로, 어려움을 견디며 끊임없이 노력하는 인내를 의미합니다. 이는 자기 계발을 위해 고통을 감수하는 끈기를 나타냅니다.
  • 형설지공(螢雪之功)
    • 반딧불과 눈빛으로(형설) 이룬 공(지공)이라는 뜻으로,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학문에 정진하는 인내를 의미합니다. 이는 가난과 어려움을 극복하고 학업에 매진하는 끈기를 나타냅니다.
  • 백절불굴(百折不屈)
    • 백 번 꺾여도(백절) 굴하지 않는다(불굴)는 뜻으로, 어떠한 어려움에도 굴하지 않는 강한 인내를 의미합니다. 이는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고 계속해서 도전하는 용기를 나타냅니다.
  • 심사숙고(深思熟考)
    • 깊이 생각하고(심사) 신중하게 고려한다(숙고)는 뜻으로, 인내심을 가지고 신중하게 판단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성급한 결정을 피하고 신중하게 행동하는 태도를 나타냅니다.
  • 토사구팽(兎死狗烹)
    • 토끼가 죽으니(토사) 사냥개를 삶아 먹는다(구팽)는 뜻으로, 필요할 때는 쓰고 필요 없을 때는 버린다는 의미이지만, 목적을 위해 어려움을 참고 견디는 것을 나타내기도 합니다.
  • 수적천석(水滴穿石)
    • 물방울이(수적) 돌을 뚫는다(천석)는 뜻으로, 꾸준한 노력으로 큰일을 이룰 수 있다는 인내를 강조합니다. 이는 작은 노력도 꾸준히 하면 큰 성과를 낼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 절치부심(切齒腐心)
    • 이를 갈고(절치) 마음을 썩인다(부심)는 뜻으로, 분하거나 원통함을 억누르며 복수를 다짐하는 것을 의미하지만, 목표를 위해 어려움을 참고 견디는 것을 나타내기도 합니다.
  • 회자인구(膾炙人口)
    • 사람들의 입에 자주 오르내린다(회자인구)는 뜻으로, 널리 알려지고 칭찬받는 것을 의미하지만, 어려움을 참고 노력하여 성공한 사람을 나타내기도 합니다.

 

 

반응형
BIG